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력자의 간호스킬

듀오덤 습윤드레싱 ? 듀오덤은 습윤드레싱일까? 🤔     안녕하세요. 간호사 널스프렌드입니다.  이번 글에서 듀오덤과 습윤드레싱(습윤 밴드)에 대해 이야기해 볼까 해요- 사실 저는 예전에 공부하면서 이 습윤드레싱을 이해하는 데 시간이 조금 걸렸답니다. 그래서 제가 기억해두려고 여기 기록해 보아요.  드레싱과 상처 🤕      드레싱(dressing)이란 상처 부위를 소독한 뒤, 거즈나 특수 제품으로 덮어 상처를 치료하고 보호하는 걸 뜻해요.  상처라고 하면...  날카로운 물건에 찔리거나 베인 상처-넘어져서 까진 상처-수술이나 미용 목적으로 일부러 생긴 상처-  등등이 떠오르는데요.  상처를 다루는 분야는 많지만, 저는 욕창과 관련해 드레싱 제품을 많이 배웠던 것 같아요.그리고 피부과, 외과에서도 이런 드레싱이 자주 쓰입.. 더보기
치료적 의사소통 안녕하세요, 간호사 널스프렌드입니다. 치료적 의사소통(Therapeutic Communication)이 무엇일까요? 간호학과에서 배우는 과목 중 하나인 정신건강간호학에서는 ‘치료적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하는데요.이는 단순히 정신건강의학과 환자와의 대화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전반적인 간호의 기초를 이루는 중요한 기술입니다. 어떤 분들은 성인간호학이나 다른 간호 분야에 비해 정신건강 간호학의 비중이 낮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저의 의견은 정신 간호학이 모든 간호의 기본이라고 생각해요! :) 그 이유는 인간의 심리를 이해하고, 이를 통해 환자와 소통하며, 그들이 질병을 겪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감정적 변화를 간과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불안감이 너무 심해 공황 발작이나 정신적 문제로 인해 수.. 더보기
만성신부전 만성신장병 차이점 안녕하세요! 간호 블로그와 유튜브를 운영하고 있는 간호사 널스프렌드입니다. 메디컬 관련 공부를 하다보면 용어 때문에 아리송해지고 헷갈리는 경우가 있어요. 대개의 경우 영어권에서 온 지식이 한국어로 번역될 때 하나의 영어 용어에 대응하여 여러 가지 한국어 단어가 사용되거나, 번역된 의미가 원어의 의미와 다르거나, 원어를 보면 의미가 확실히 전달되는 단어라도 번역이 되면서 그 의미가 모호해지는 경우가 많은 것 같아요. 그도 그럴 것이 의학과 간호학은 전 세계적으로 연구 및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어서, 영어로 출판된 자료 및 학술지가 많아요. 정말 많은 의학 및 간호학 용어가 영어로부터 유래하거나 영어에서 번역되어 사용되고 있답니다. 그래서 의학 및 간호학 분야에서 영어 용어의 사용은 불가피해요. 특히 국제적인.. 더보기
경직 & 경축 차이점? 경직. 경축 제가 이 단어를 접하게 된 건 파킨슨병에 대해 공부하면서입니다. 파킨슨병의 증상에 팔다리가 뻣뻣해지고 경직되는 것이 있는데요, 그때 이 증상을 부를 때 경직이라고도 하고 경축이라고도 해요. 이걸 문헌마다 다르게 쓰고 있어서 어떤 게 더 정확한 말인지, 뭐가 맞는 말인지 살짝 궁금해지더라고요. 경직, 경축 비슷한 어감인데 다른 단어로 써져서 살짝 헷갈릴 수 있는데, 사실 알고 보면 별거 없어요. 영어로는 rigidity입니다. 원래 팔다리가 뼈가 있긴 하지만 주변에 근육, 살이 붙어 단단하면서도 부드럽잖아요? 그런데 막 힘이 꽉 들어가고 뻣뻣해져서 마치 나무판자처럼 되는 그런 증상을 말해요. 결국 영어를 번역하여 우리나라 말로 가져오면서 어떤 사람은 ‘경직’으로 번역하고, 누군가는 ‘경축’으로.. 더보기
수술 시 소변줄 삽입 이유 안녕하세요 널스프렌드입니다. 어떤 수술이건 수술 시 흔히 소변줄을 삽입합니다. 소변줄은 병원에서 ‘도뇨관’, ‘유치도뇨관’, ‘foley catheter(폴리 카테터)’ 등으로 불러요. 그렇다면 수술할 때 이 소변줄을 삽입하는 이유가 뭘까요? 여기에는 2가지 이유가 있어요. 첫 번째 이유는 아무런 문제 없이 소변(오줌)이 계속 흘러나오도록 하기 위함이에요. 모든 수술은 마취를 합니다. 전신마취던, 척추마취 또는 부분마취이건 수술할 때 아프지 않도록 마취를 하게 되는데 그럼 방광에도 마취가 되기도 하고, 또 걸어서 화장실을 갈 수 없거나 어렵기 때문에 소변줄을 넣어 소변이 흘러나오도록 하는 거예요. 전신마취를 한다면 마취를 하고 의식이 없는데 당연히 화장실을 못 가겠죠? 마취에서 방금 깼는데 화장실에 가기.. 더보기
감염과 염증 차이점 안녕하세요. 널스프렌드입니다. 감염과 염증의 차이 아주 쉽게 알려드릴게요! 사실 제가 공부한 거 이해하고 잊지 않게 여기 정리해두는 거예요 ㅎㅎ 감염은 외부에서 신체로 세균, 바이러스가 침입해 증식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래서 신체의 면역 반응에 의해 발열, 발적, 통증, 부종, 농(고름, pus) 등 여러 가지 증상이 생길 수 있어요. 그런데 염증이 생겼을 때도 발열, 통증, 발적, 부종, 농 등의 증상이 있어요. 엥? 그렇다면 뭐가 다른 거지 할 수 있는데- 한마디로, 감염은 '염증'의 원인 중 하나입니다. 감염은 신체에서 세균 등 '병원성 미생물의 침입 & 증식'이고, 염증은 신체에서 이에 대응하는 방어 기전의 과정, '신체의 반응'에 초점을 맞춘 단어입니다. 그도 그런 게, 염증의 원인은 감염뿐만 .. 더보기
항암화학요법 전 청력검사 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널스프렌드입니다. 공부해도 아리송한 간호학, 건강, 메디컬 지식을 알기 쉽게 알려드리는- 블로거로 활동 중인 간호콘텐츠 크리에이터 간호사입니다. 병원 임상에서 항암치료 전 청력검사를 하는 경우가 있어요. 현재 청력 정도가 어느 정도인지, 얼마나 잘 들리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시행합니다. 그리고 나중에 다시 청력검사를 해서 비교하기 위한 기준점의 확인을 위해 청력 기능을 미리 체크해 두는 것인데, 그 이유는 항암제 부작용 때문이에요. 항암제는 우리 몸에서 비정상적으로 과다 증식하는 악성 종양인 암세포를 억제하기 위해 투여하는데, 그만큼 독성이 강해서 여러 부작용이 나타납니다. 항암제마다 차이는 있지만 오심, 구토, 탈모, 식욕부진, 설사, 피로 등이 대표적인데 그중 특정한 항암 약품에서 청력 손.. 더보기
술통형흉곽 뜻 안녕하세요 널스프렌드입니다. 제가 이번 글에서 별거 아니지만 아리송할 수 있는 단어 '술통형흉곽'의 의미와, 왜 그렇게 부르게 됐는지 알려드릴게요. ‘술통형 흉곽’이라는 단어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에 대해 배울 때 접할 수 있는 말이에요.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종류인 폐기종, 만성 기관지염, 만성 천식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다른 말로 ‘술통형 가슴’, ‘술통 모양 흉곽’, ‘원통형 가슴’ 등으로도 부를 수 있는데 보통 ‘술통형 흉곽’으로 주로 많이 말합니다. 이 가슴 모양의 변화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에 대해 설명할 때, 빼놓고 말할 수 없는 특징적인 신체적 변화인데요- 어떤 모양을 말하냐면, 보통 우리 정상적인 가.. 더보기
비가역적 뜻 질병이나 질환에 대해 공부하다 보면 ‘비가역적이다’, 라는 말을 접하게 돼요. 이것도 계속 보다보면 익숙해지는 말이지만 처음에는 어려운 말인 것 같아요. 좀 쉬운 말로 설명해주면 좋을 텐데 말이에요. 한마디로, 다시 나아질 수 없다, 다시 원래 상태로 돌아갈 수 없다, 다시 회복될 수 없다는 뜻입니다. 영어로는 ‘irreversible’이라고 합니다. ‘비가역적 질환’은 ‘irreversible disease’라고 하고요. 가장 대표적인 ‘비가역적’인 질환에는 ‘치매(Dementia)’가 있어요. 아마 지금까지 어디에서도 치매가 완치되었다는 말은 들어본 적이 없으실 거예요. 일단 치매를 진단받고, 치매가 진행되면 그 전의 상태로 회복될 수 없는 것입니다. 물론 미래에 의학이 더 발전해서 치매도 완치 가능.. 더보기
침습적처치 뜻 '침습적 처치'가 무슨 말일까요? 우리가 보통 친구들이랑 이야기할 때, 침습적 처치라는 말을 잘 쓰진 않잖아요. 그래서 처음 이 단어를 접하면 조금 생소한 말이라는 생각이 우선 들어요. 아무래도... ‘침습적 처치’라는 말은 의학, 간호학처럼 메디컬 분야의 공부를 하다 보면 알게 되는 말인 듯 합니다 아니면 병원에서 시술이나 처치를 받기 위해 안내자료, 설명서 등을 읽다보면 접할 수도 있구요. '침습적 처치'는 ‘침습적 시술’, ‘침습적 요법’, ‘침습적 중재’라고도 하는데 중요한 건 이 ‘침습적’이라는 말의 뜻이 무엇인가 아는 것 같습니다. ‘침습적’ 이라는 말은 병원에서, 임상에서 쓰는 말인 것 같은데- 계속 듣고 쓰다보면 익숙해지지만 처음에는 이게 무슨 말이야 싶고... 공부하다 보면 별거 아닌데도.. 더보기
뇌졸중 뇌경색 뇌출혈 차이점 안녕하세요! 널스프렌드입니다. 신경계의 중심 역할을 하는 뇌. 이 뇌와 관련된 질환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여기에는 뇌졸중, 뇌경색, 뇌출혈 등 여러가지 말이 있어요. 그래서 종종 헷갈리는 것 중 하나가 뇌졸중은 뭐예요? 뇌출혈이랑 뇌경색이랑 어떻게 달라요? 하는 질문이 있을 수 있습니다. 간단히 알려드리면, 뇌졸중은 영어로는 CVA, 풀어서 cerebral vascular accident라고 하고 이걸 직역하면 뇌에 생긴 혈관 사고!라는 뜻이에요. 이 사고에는 두 가지 사고가 있다는 거, 어떤 사고? 막히거나, 터지거나. 막히면 뇌경색, 터지면 뇌출혈. 다시 말하면, 이 뇌경색과 뇌출혈 두 가지를 다 합쳐서 뇌졸중이라고 합니다. 뇌졸중이 있고 그 안에 뇌경색과 뇌출혈이 같이 있다는 거! 위 그림처럼 .. 더보기
수혈 혈액 종류 체내 혈액이나 그 구성성분이 부족한 상황에서 해결법 중 하나는 수혈을 받는 것입니다. 그런데 수혈 혈액제제는 1가지가 아니라 종류가 꽤 많아요. 그 이유는 혈액의 구성이 여러 가지 요소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크게는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혈장으로 이루어져 있어요. 더 자세히는 혈장 내 알부민, 응고인자 등을 포함하고 있고요. 그래서 모자라는 성분을 따로 추출해서, 필요한 것만 선택적으로 공급해주기 위해 여러 가지 종류가 존재하는 거예요. 예를 들어 '혈우병 환자'가 있다고 하면, 혈소판이 모자란 질병이므로 혈소판 제제를 수혈 해야 합니다. 그런데 그런 혈우병 환자에게 혈액 전체를 모두 수혈해준다면 어떨까요? 그러면 혈소판만 모자란데 충분히 있는 다른 성분까지 불필요하게 함께 들어오니까 과부하가.. 더보기

반응형